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ARK: Aberration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장비 === * '''발광봉'''(Glow Stick) 조명탄과 비슷하게 일정시간 광원을 확보할 수 있는 소모품. 조명탄과는 다르게 공중에 체공하지 않고 땅으로 떨어지며 발광시간도 긴 편이다. 우클릭 시 발광봉을 활성화한 상태로 손에 들고다니고 길게 누르고 있으면 등에 메단다. 다만 이 빛으로 네임리스를 대비할 순 없다. 그리고 발광봉 자체에도 내구도가 있어 야생생물 등에 공격당할 경우 파괴된다. 내구도는 상당히 낮은편. * '''집라인 앵커'''(Zip-Line Anchor) 쇠뇌로 사용가능한 유틸리티 탄약. 첫번째 발사위치와 두번째 발사위치를 집라인으로 연결한다. 기본적으로 추가 아이템 없이 경사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이동가능하고 레비저, 기간토피테쿠스를 탄 상태이거나 집라인 모터 부속물을 사용하는 경우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올라갈 수도 있다. 내구도가 100이라 야생끼리의 싸움에도 잘 부서지니 설치위치에 주의가 필요하다. 설치가 되는지 안되는지 궁금하면 첫번째 발사위치를 자기주변으로 설정하고 두번째 발사위치를 원하는 위치에 갖다대면 선이 빨강 또는 초록으로 표시되며 불가능, 가능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등반용 곡괭이'''(Climbing Pick) 암벽 등을 오를 수 있는 도구. 착용한 상태로 암벽 등에 다가가면 초록색 곡선이 나오며 클릭 시 올라간다. 파란색 곡선이 나오는 경우 이동하는 공간이 곡괭이 없이 서있을 수 있으며, 빨간색 곡선이 나오는 경우 이동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내구도가 있어 여러 개를 구비해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펜치'''(Pliers) 생산한 가구없이 수리 재료만 있음 바로 수리가능한 도구. 다만 수리비용이 평소보다 많이 나오고[* 게임피디아에 따르면 수리비용이 대략 50%증가한다고 함.] 펜치 자체에도 내구도가 있다. 인벤토리에서 펜치를 수리할 아이템에 드래그 앤 드롭 행동을 하면 수리된다. 에버에서 펜치를 사용하는 경우는 방호복, 등반 곡괭이 아니면 롤렛 안장 정도일텐데 자신의 자원 상황이나 무게에 따라 수리 재료를 가지고 다닐건지, 차라리 여분의 아이템을 준비할건지 선택하는 게 좋다. * '''집라인 모터 부속물'''(Zip-Line Motor Attachment) 바지에 장착하는 스킨 형태의 악세사리. 가솔린이 있어야 사용가능하며 집라인의 오르막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집라인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무게를 20 차지하기 때문에 집라인을 자주 사용하지 않는다면 평소에는 따로 보관하는 것이 편하다. 집라인을 장착 또는 해제하면 기존 스킨과는 다르게 도색된 색상 데이터가 날라간다. * '''글라이더 슈트'''(Glider Suit) 상의에 장착하는 스킨 형태의 악세사리. 점프 및 낙하 중에 점프 버튼으로 활강이 가능하고 활강 시에 상의 내구도를 점차 소모한다. 달리기 버튼을 누를 경우 하강하고 기본적인 방향은 마우스를 움직여 조정할 수 있다. 활강 도중 데미지를 입거나 어딘가에 부딪히면 활강상태가 풀려 추락하기에 락드레이크 알서리 등에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스쿠버 산소통 상의나 방호복 상의는 내구도가 가지는 의미가 중요해서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집라인 모터 부속물과 마찬가지로 무게를 20 차지한다. 다만 이쪽은 집라인없이도 사용가능하고 평소에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아서 필수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도색의 경우 글라이더 슈트에 저장된다. 다만 기존 옷에 있는 도색 데이터는 사라진다. * '''방호복 복장'''(Hazard suit) 기본적인 용도는 방사능 보호. 5개의 장비 중 하나라도 장착하지 않으면 방사능 보호기능이 동작하지 않는다. 방사능구역에 있으면 내구도가 점차적으로 줄어든다. 부가적인 기능으로는 머리파트의 경우 방독면과 같은 기능을 가지구 있어 환각 포자를 보호하기도 하고 바실리스크의 브레스 데미지 중 질식데미지를 무시해준다.[* 질식데미지를 막아주는 대신에 헬맷의 내구도가 감소한다.] 그리고 방어력과 더위 저항이 높은 편이다. * '''충전 배터리'''(Charge Battery) 배터리 게이지를 충전할 수 있는 아이템. 냉장고나 에어컨 등 전기가 필요한 가구에 넣을 시 발전기 없이 작동가능하다. 사용 중에는 지속적으로 배터리 게이지를 소모하고[* 냉장고를 예로 들면 완충된 충전 배터리의 경우 약 2시간 30분동안 작동한다.] 빛벌레 및 충전노드를 통해 충전이 가능하다. 충전노드를 통한 원소 생성에 필수적이다. * '''충전 랜턴'''(Charge Lantern) 충전 배터리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랜턴. 발광 생물과는 다르게 스팟 라이트 형식이 아닌 디렉셔널 라이트 형식이다. 단순한 라이트가 아니라 야생 생물에게 쐬일 시 트레일러에서 봤던 것처럼 무슨 전기와 같은 선들이 마치 공격하는 것처럼 이어지는데 이후에 주황색의 회오리가 생기며 잠시 기절 상태가 된다.[* 모든 대상이 기절하진 않는다.] 특히 네임리스나 리퍼에게 효과적인데 네임리스의 경우 발광 생물처럼 버프만 없애는 것이 아닌 행동 자체를 제약시키며 오랬동안 빛에 쐬일 경우 땅으로 도망간다.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땅에 던지며 설치가 되는데 상호작용 버튼으로 랜턴의 상하좌우나 밝기도 조정가능하다. 물론 회수도 가능하다. * '''Z종 열매'''(Plant Species Z Fruit) 작물 밭에 Z종 씨앗을 심어 재배한 Z종에서 나오는 열매이며, [[섬광탄]]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로도 유사하게 쓰인다. 섬광에 맞은 대상은 실명에 걸리며, 생물[* [[마나가르마]] 크기까지의 생물이 유효하다.]에 탑승한 상태라면 탑승 해제가 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